본문 바로가기

Thinking/Book

[독서노트] 나의 투자는 새벽 4시에 시작된다.

728x90

 

나의 투자는 새벽 4시에 시작된다.
저자 유목민

출판 리더스북

 

매도 바이블
1. 주식 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은 뉴스나 언론 보도가 아니다. 영향을 주는 것은 펀더멘털이다.
2. 그러므로 언론 보도는 회사의 펀드멘털에 영향을 주는 것인가를 가장 먼저 판단해야 한다.

- 자기가 매수한 이유를 흩어버리는 시그널이 발생할 때는 매도하는게 맞겠지요.

실전형 매도 바이블
1. 재료 소멸로 판단되는 이슈라면 무조건 절반 이상 비중을 줄인다. 스스로 소멸인지 아닌지 판단할 능력이 되야 한다.
2. 오너 리스크일 경우 반드시 비중을 절반 이상 줄인다. 상장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건 오너다.
3. 강한 지지선을 깨는 경우 반드시 회사에 전호해서 악재가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매수 이유를 재점검한다.
4.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급등'이 나올 경우 비중을 절반 이상 줄인다. 시간을 사는 게 수익보다 훨씬 중요하다.
5. 스윙, 장기 투자 매매 시 예상보다 많은 평가 수익을 거두고 있을 경우 비중을 반드시 줄이기 시작한다. 마음속에 욕심이 생기 시작할 때가 바로 매도를 시작할 순간이다.
6. 뇌동매매로 매수했다면 즉시 전량 매도한다. 원칙 없는 매매는 결국 더 큰 실수를 불러온다. 당장은 수익을 내더라도 나중에 더 크게 잃는다.
7. 언제나 원칙을 갖고 매수했는지 살핀다. 원칙에서 어긋난 매매라면 그 즉시 물량을 줄인다.
8. 마음속에 조금 더 라는 욕심이 들면 그 즉시 물량을 줄인다. 자신의 심리는 가장 중요한 보조지표다.
9. 일희일비하고 있다면 이미 말리고 있다는 증거다. 주식을 멈추고 주식과 전혀 상반된 일을 해서 뇌를 쉬게 하자.
10. 조금이라도 자만한 마음이 든다면 곧 큰 실수가 생길 때가 온 것임을 명심하자. 항상 감사해하고 겸손해야 한다.

매수 바이블
1. 주가를 점차 올리는 것은 유동성과 실적이다. 유동성에는 정부의 자금과 기업의 투자가 있으며, 실적은 만고불변의 주가 상승 원동력이다.
2. 주가를 빠르게 올리는 것은 그림이다. 이 그림이 기대감을 불러온다.
3. 1번과 2번이 함께 존재할때 주가는 급등한다.

실전형 매수 바이블
1. 없다가 생긴 것, 있다가 없어진 것을 체크한다. 이를 캐치하는 능력이 생기면 큰돈을 벌 수 있다.
2.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구분하라. 불확실성 상태에서 리스크로 확정되는 순간이 주식 투자하기 가장 좋은 때다.
3. 유동성과 관련된 이슈는 매수에 큰 영향을 준다. 정부의 정책, 기업의 투자는 자세히 봐야 한다.
4. 대기업의 정책 변화는 매우 중요하다. 반드시 새로운 투자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5. 기업의 실적을 높이는 이슈는 중소형주와 대형주 할 것 없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신사업이나 대기업의 정책 변화로 생기는 실적 상승은 일시직이지 않을 확률이 높다. 일시적이지 않다면 주가의 큰 폭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주가 조정 시 매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6. 키워드에 집착하지 않는다. 주식은 키워드로 매매하는 단세포계가 아니다.
7. 시황을 고려하라. 시황이 좋지 않으면 주가를 움직이는 힘이 크게 약해지므로 매수 수량을 평소의 절반 이하로 줄여라.
8. 업황을 고려하라. 해당 종목이 속한 업황이 좋지 않다면 주가를 움직이는 힘이 대폭 약해지므로 매수 수량을 평소의 3분 1 이하로 줄여라.
9. 이왕이면 거래량이 많은 업황을 상대적으로 크게 보고, 종목도 가능한 한 호가가 많은게 좋다. 관심 소외주에 홀로 관심 가져봤자 쓸쓸한 손절만 기다릴 뿐이다. 거래량이 많고 호가가 좋은 종목이 끼도 좋다.
10. 이왕이면 차트상 고점인 종목보다 차트상 바닥이나 조정 중인 종목을 고르자. 올라가봤자 10%, 떨어지면 ~30%인 종목을 굳이 매매할 필요 있겠는가. 같은 재료라면 차트가 좋은 종목이 더 잘 간다.


주식 공부 챌린지
전날 상한가를 간 종목과 거래량 천만 주 이상을 기록한 코스피와 코스닥 종목을 찾아봅니다.
주력으로 삼겠다고 계획한 영역과 맞는 종목은 보다 집중적으로 공부하세요.

 

지식 -> 시그널 -> (실행 전략 결정) -> 주시 -> 변화 감지 -> 대응 -> 반성 -> 반복